레이블이 Openoffic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Openoffic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10월 23일 목요일

오픈 오피스 - 문서 변환기능

오픈 오피스는 MS Office 제품과 (100%는 아니지만..) 호환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덕분에 .doc나 .ppt 혹은 .xls 파일 불러오기가 지원됩니다.
더 나아가 개별 문서 불러오기 뿐만 아니라 대량의 문서를 오픈 오피스 형식으로 변환할수 있습니다.
이 기능이 필요한 분들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지만...
사용방법도 아주 쉬우니 OpenOffice로 이전을 결심했다면 알고 있어야 하는 기능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파일]-[마법사]-[문서 변환기]메뉴를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변환할 문서 유형중 Microsoft Office에 체크합니다.
    필요에 따라 Word 문서와 PowePoint-문서, Excel 중에 선택 체크하거나 모두 체크하면 됩니다.




3. MS Office가 설치되지 않은 관계로 서식 파일은 제외하고 변환해 보겠습니다.
    변환될 문서가 있는 폴더와 변환된 문서의 폴더 위치만 지정하면 간단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모두 지정하고 나면 위 화면이 나옵니다. 변환할 문서 위치와 변환된 문서의 출력 위치를 한번 더 알려주는
    센스~! 에 감탄할때가 아니라.. 변환을 선택해서 작업을 시작하겠습니다.




5. 변환한 파일이 3개뿐이라 그런지 짧은 시간에 완료되었습니다.
    변환후엔 로그 파일을 살펴볼수도 있습니다.
    특별한 내용은 없지만, Excel문서는 macro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알려주는 문구가 눈에 뜁니다.
    (오픈 오피스 사용자라면 알만한 내용이지요.... ㅜ.ㅜ)



오픈 오피스가 아무리 MS Office와 호환성이 좋다고(?) 해도 100%는 아닙니다.
아무래도 기존의 서식과 달라진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직접 수정하는 수고는 필요합니다.
뭐.. 일일이 열어보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 노가다 보다는 더 쉽지 않습니까?



2008년 10월 22일 수요일

오픈 오피스 - 가로/세로 페이지 전환을 쉽게 해주는 Alba

Alba는 오픈 오피스에서 페이지 전환을 도와주는 확장기능입니다.
스타일을 이용하면 해결되는 문제지만, 매번 페이지 마다 스타일을 적용한다는건 꽤 귀찮은 작업입니다.
페이지 전환이 많지 않은 문서 작업이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저만 그런가요? 제가 좀 귀찮은걸 싫어하는 타입이라..) 

아직 버전이 높지 않아서인지 버그인지 원래 기능인지 모를 결과를 낳기는 합니다만..
확실히 필요했던 기능이라 그런지 애교로 봐줄만 합니다. ^^;

그럼 간단한 설명으로 들어가겠습니다.

Alba는 문서 작성중에 혹은 미리 페이지 레이아웃을 만들때는 꽤 유용합니다.
하지만 아무 생각없이(?) 사용했다가는 귀찮은 일이 벌어지니 이 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Alba 실행화면



1. 가로/세로 전환
    현재 페이지를 세로라면 가로로 가로라면 세로로 바꿔줍니다.
    예를 들어 1~10 페이지 까지 있는 문서의 1페이지에서 적용하면 모든 페이지의 방향이 반대로 바뀝니다.
    2페이지에서 적용하면 2~10까지만 바뀝니다.

2. 다음 페이지를 가로로(세로로)
    다음 페이지가 없는 경우 빈 페이지를 자동으로 삽입하여 가로(세로) 페이지를 만들어줍니다.
    역시 1~10페이지 문서의 첫페이지에  적용하면 다음 페이지부터 문서의 끝까지 가로로 만듭니다.

3. 문서 중간에 가로(세로)페이지 삽입
    페이지 사이에 가로(세로)페이지를 삽입합니다.
    아무래도 이건 아래 스크린샷을 보는게 이해가 빠를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서 중간에 세로 페이지 삽입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용한 화면



4. 이전 페이지에 세로 페이지(가로) 삽입
    가로나 세로 페이지를 이전 페이지에 삽입합니다.
    주의할 것은 커서의 위치입니다. 페이지의 처음부분에서 적용하면 이상없이 잘 작동하는데...
    페이지 중간이나 끝에 위치하면 3번의 기능처럼 작동하는것 같습니다.


5. 초기 스타일로 돌아갑니다
    뭔가 좀 어설픈 기능입니다.
    원래 스타일로 돌아가야 할텐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가끔 있습니다.
    아마 Ctrl+Z(실행취소)를 부분적으로 응용한것 같습니다.

도움말을 누르면 제작자 블로그로 가게 됩니다만, 동구권 언어입니다...


Alba의 또 다른 응용 방법입니다.
Alba 설치후 아무 기능이나 사용한뒤 스타일창을 열고, '페이지 서식 스타일'로 이동하면
전에 없던 스타일인 (**** L_Alba와 *** P_Alba) 추가되어 있습니다.
원하는 페이지만 위 스타일을 적용해주면 가로/세로 전환이 가능합니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레이아웃에 맞춰 위 2가지 스타일이 자동으로 생성되는것 같습니다.)


설명을 늘어놓다 보니 본의 아니게 쓸만하지 않다는 뉘앙스를 풍기게 됐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정확한(?) 사용법만 숙지한다면..
보다 편하게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확장 기능임에 틀림없습니다.

(이전에 소개했던 'Pager'를 제작했던 제작자의 확장이라 어설픈 한글화를 다시 시도했습니다.)




오픈 오피스 - 서식 추가와 관리


※ 서식 파일 저장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서식으로 지정하고 싶은 문서를 열고 [파일]→[서식 문서]→[저장]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적당한 영역을 고르고 서식의 이름을 입력한후 확인을 선택합니다.


저장된 서식파일로 새문서 만들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파일]→[새로 만들기]→[서식 파일과 문서]를 선택합니다.


2. '스타일과 문서 - 서식 파일' 대화상자가 나오면 저장해둔 서식파일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열기]를 선택하거나 더블클릭하면 새 문서가 만들어집니다.

기본 서식 파일 변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파일]→[서식 문서]→[관리]를 선택합니다.
   설정하려는 서식 파일을 찾아갑니다.


2. 서식 파일을 선택한후 [명령] 버튼을 클릭하거나 마우스 우클릭 하면 목록이 나옵니다.
   '기본 서식 파일로 설정'을 선택합니다. [닫기]를 누르고 새 문서를 만들면 레이아웃이 달라져 있습니다.

3. 오픈 오피스 기본값으로 돌아가려면 '기본 서식 파일 원래대로'를 선택하면 됩니다.

(오픈 오피스 커뮤니티에 올라왔던 질문/답 내용을 참고하여 구성해봤습니다.거의 똑같을라나?..)


2008년 9월 4일 목요일

오픈 오피스 - 스타일과 스플래쉬 화면을 바꿔보기

오픈오피스엔 스킨기능이 없냐고 가끔 질문하는 분들이 있는데,아이콘이나 스플래쉬 화면정도는 변경됩니다.
리눅스쪽에선 테마를 개발중인것도 같으니 당분간은 이걸로 참아주세요.
(윈도우용 오픈오피스에 한정된 글임을 미리 밝혀드립니다. 리눅스용은 떠돌이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 먼저 아이콘부터 바꿔볼까요?

오픈오피스를 실행하고 [도구]→[옵션]→[OpenOffice.org]탭의 [보기]메뉴를 선택합니다.
'아이콘 크기 및 스타일' 부분에서 마음에 드는 스타일을 골라주시면 됩니다.
눈이 좀 침침하신 분이면 크기를 '크게'로 해놓으면 좋습니다. ^^;




▲ 기본 or 자동


▲ 크리스탈(Crystal)


▲ 산업(Industrial)


▲ 탱고(Tango)


▲ 갤럭시(Galaxy)


선택 가능한 4가지 스타일 (고대비는 제외했습니다...안습이라서) 과 현재 제가 쓰고 있는 Galaxy 아이콘 입니다.
스타일을 추가하는 방법을 모르기때문에 밋밋한 기본대신 갤럭시로 대체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C:\Program Files\OpenOffice.org 2.4\share\config 폴더를 보면 images.zip이 있는데 이 파일이 기본 아이콘
이미지를 압축해놓은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첨부파일로 대체하면 갤럭시 아이콘이 기본값으로 설정됩니다.



다음으로 후딱 넘어가겠습니다.
스플래쉬 화면을 바꾸는 방법도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C:\Program Files\OpenOffice.org 2.4\program 폴더에 intro.bmp 파일이 있습니다.

▲기본 스플래쉬 화면


위 그림이 intro.bmp 입니다. 이 파일만 원하는 그림으로 대체하면 되는 간단한 작업입니다.
크기는 상관이 없지만, 24bit 이하(?)의 비트맵 파일이어야 합니다.
32bit 비트맵은 읽어오지도 못하고 아예 오픈오피스 자체가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또 soffice.ini 파일을 수정하면 로딩바의 색깔이나 위치 크기등도 바꿀수가 있습니다.

Logo - 기본값은 1이며, 0으로 바꾸면 스플래쉬 화면이 나오지 않습니다.
ProgressBarColor - RGB 형식으로 색상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ex) 198.211.231
ProgressPosition - 기본값은 -1,-1 입니다. 픽셀로 계산한 값을 집어넣어도 정상 작동합니다.
ProgressSize -  기본값은 -1,6 입니다. 위와 같이 픽셀값으로 대체해도 정상 작동합니다.


※ 스플래쉬 화면을 구할수 있는곳


아래는 제가 전에 만들어 쓰던 스플래쉬 화면입니다. 지금은 쓰지 않습니다.. 너무 밋밋해서요. ^^;
(그림이 밋밋하다는 뜻으로 오해하시면 곤란합니다..)



2008년 9월 1일 월요일

오픈 오피스 - clker.com의 클립아트 플러그인

이전에 clker.com의 포스팅을 하면서 오픈오피스 플러그인 대한 언급을 했습니다.

아직 v0.1이라 많은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오픈오피스 사용시 꽤 도움이 될거라 생각했고, 버전업이 꾸준히 되길 기대하는 마음으로 소개합니다.

이 오픈오피스용 플러그인은 오픈오피스 확장기능 사이트clker.com 블로그에서 내려받기 하시면 됩니다.
내려받기한 clker.oxt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간단히 확장기능에 추가됩니다.
이제 오픈오피스를 실행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Clker Menu 가 추가된것이 보입니다.


Clker gallery
를 사용하기 위해선 사전 작업(?)이 조금 필요합니다.

첫번째로 clker.com에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이 부분은 이메일 주소만 제대로 적어두면 쉽게 가입이 가능하니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두번째로 마음에 드는 클립아트를 'add to basket'버튼을 이용하여 쓸어담습니다.

▲ 16개 제한이라니..

※ 주의할 점은 보관중인 클립아트가 16개를 넘어갈 경우 Clker Gallery의 목록에서
   먼저 추가된 순서대로 없어집니다.
   아마 클립아트를 불러올때 로딩시간 문제도 있고, 이런 저런 이유로 16개의 제한을 둔것 같습니다.


그럼 다시 오픈오피스로 돌아가겠습니다.
Clker Gallery를 실행하고 가입할때 적은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그후 Refresh 버튼을 살포시 눌러줍니다.
그럼 아무것도 없던 목록에 이미지가 짠! 하고 뜨게 됩니다.
3가지 포맷중에 원하는것을 선택하고 Copy to clipboard 버튼을 클릭하면
잠시 오픈오피스 드로우 화면이 나타났다 사라집니다.
(png를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최고등급(hi)으로 설정되는것 같습니다.)
붙여넣기를 하면 선택한 클립아트가 문서에 간단히 삽입됩니다.



네.. 다른 기능은 없습니다...
글의 처음에서 밝혔듯 아직 v0.1 입니다.
많은 기능을 바라고 쓰기에는 무리가 많은 확장기능인건 사실입니다.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있으니 관심있는 제작자가 뜯어보고 기능을 추가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굳이 점수를 주자면 5점??

이미지를 일일이 자신의 컴퓨터에 내려받아 문서에 삽입하기 귀찮은 사용자에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


2008년 8월 28일 목요일

오픈 오피스 - 손쉽게 페이지 번호를 넣어주는 확장기능 'Pager'

전에 'Pager'를 뜯어보다가 실패했었는데, 제작자 chkur의 메일을 받고 기운을 차렸습니다.
제가 원하는 부분은 쏙 빼놓고 설명을 해서 당황스러웠지만..
'구글 검색' 스킬로 해결했습니다.

오픈 소스라서 그런가요? 생각보다 작업은 수월했습니다.
전에도 리눅스용 프로그램들이 확장자가 .po인 파일의 편집만으로 번역이 가능한 점에 감동(?)을 했었죠.
'Pager'도 poperties라는 리소스를 전용 에디터로 슥슥 고치면 되는거였습니다. ^^;
이걸 몰라서 인코딩만 몇번이나 했는지 참..

나름대로 깔끔하게 한다고 신경을 썼는데 번역이 잘 됐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럼 'Pager'에 대한 사용법을 간단히 적어 보겠습니다.
첨부된 파일을 받고 더블클릭만 해주면 간단히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후 오픈오피스를 실행하고 [삽입]→[페이지 번호]메뉴를 선택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페이지 번호 삽입 메뉴

1. 머릿글  페이지의 윗쪽에 번호를 삽입합니다.
    바닥글  페이지의 아랫쪽에 번호를 삽입합니다.
                왼쪽, 가운데, 오른쪽은 번호의 정렬위치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2. 마주보기 페이지번호 삽입
   첫 페이지 번호가 왼쪽에 삽입되었을 경우, 그 다음 페이지는 오른쪽에 번호가 삽입됩니다.
   이런식으로 번갈아가며 반대편에 페이지 번호가 삽입됩니다.
   아래 그림을 참조하면 무슨 기능인지 아실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마주보기 번호 삽입

3. 첫번째 페이지 번호  시작할 번호를 적어주면 됩니다. ex)2 or 3
                                   1부터 시작할경우 적지 않아도 되는 옵션입니다.
                           
4. 첫번째 페이지에 번호 넣지않음  말 그대로 첫번째 페이지엔 번호를 넣지 않습니다.

5. 텍스트 삽입 'Page 1 of N'  총 페이지중 몇번째 페이지인지 알려주는 문구가 삽입되는 옵션입니다.
                                            ex) Page 1 of 98
                                           (국내에선 사용빈도가 거의 없을것 같습니다.)

6. 모든 페이지에 번호 삽입  이 항목에 체크하면 자동으로 모든 페이지에 번호가 삽입됩니다.
                                          체크를 해제하면 설정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7. 페이지 번호 유형
   오픈오피스 메뉴의 [삽입]→[필드]→[그외...]항목중 [페이지 번호]에서 선택할수 있는 옵션과 같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설정 메뉴

8. 적용할 스타일 선택  번호가 삽입될 페이지 스타일을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ex) '표준'과 '색인'에만 체크하면 그외의 스타일이 쓰인 페이지는 제외됩니다.
                               
9. 세로 페이지만  세로로된 페이지에만 번호를 삽입합니다.
                           (페이지 레이아웃이 세로가 긴 형태)
               
   가로 페이지만  가로로된 페이지에만 번호를 삽입합니다.
                          (페이지 레이아웃이 가로가 긴 형태)

10. 제외할 페이지  번호를 넣지 않는 페이지를 사용자가 직접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1,3,5 라면 1,3,5번째 페이지엔 번호가 삽입되지 않습니다.
                             또 1-10 이면 첫번째부터 열번째 페이지까지 번호가 삽입되지 않습니다.


※ 첨부된 파일은 버전이 0.94 라서 위 스크린샷하고 인터페이스가 조금 달라져있습니다.
    기능상의 차이는 없으니 사용하는데 불편은 없습니다. ^^;
    (제작자에게 번역된 파일을 보냈으니 곧 한국어도 포함될것 같습니다.)

                           mr7EZAu/G/T2FDTJFZavdD9lgJmbH+X2FfhHPcvK7rs=

2008년 8월 8일 금요일

오픈 오피스 - 다른형식으로 저장을 쉽게 해보자

오픈 오피스를 쓰다보면 다른 문서 형식으로 저장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다른 오피스들도 .odf를 지원해주면 좋으련만..)
일일이 지정해서 저장하기도 귀찮고 해서, .odf 형식외에 몇가지를 추가하여 자동 저장하는 매크로를 소개합니다.

NOTE : d:\backup 이 부분의 경로명을 고치면 원하는 폴더에 저장할수 있습니다.
이 매크로를 실행하기 전에 [파일]→[등록정보]메뉴를 선택한후 설명 탭의 제목 항목을 입력하셔야 합니다.
제목표시줄엔 제목없음 이라고 표시되지만 저장폴더로 들어가보면 제목에 적어놓은 이름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NOTE:
.hwp를 시도해 봤지만, 역시나 안되눈군요.
           export는 아직 비공개 포맷이라 그런지 지원되지 않습니다.
 

Sub Main
oTextDoc = ThisComponent
cDocumentTitle = oTextDoc.getDocumentInfo().Title

If Len( cDocumentTitle ) = 0 Then
MsgBox( "파일->등록정보->설명->제목을 입력하세요." )
Exit Sub
EndIf

cBackupFolder = "d:\backup"

' Save a backup as odt
cURL = ConvertToURL( cBackupFolder + "\" + cDocumentTitle + ".odt" )
oTextDoc.storeToUrl( cURL, Array() )

' Save a backup as RTF
cURL = ConvertToURL( cBackupFolder + "\" + cDocumentTitle + ".rtf" )
oTextDoc.storeToUrl( cURL, Array( MakePropertyValue( "FilterName", "Rich Text Format" ) ) )

' Save a backup as DOC
cURL = ConvertToURL( cBackupFolder + "\" + cDocumentTitle + ".doc" )
oTextDoc.storeToUrl( cURL, Array( MakePropertyValue( "FilterName", "MS Word 97" ) ) )

' Save a backup as PDF
cURL = ConvertToURL( cBackupFolder + "\" + cDocumentTitle + ".pdf" )
oTextDoc.storeToUrl( cURL, Array( MakePropertyValue( "FilterName", "writer_pdf_Export" ) ) )

' Save a backup as TXT
cURL = ConvertToURL( cBackupFolder + "\" + cDocumentTitle + ".txt" )
oTextDoc.storeToUrl( cURL, Array( MakePropertyValue( "FilterName", "Text" ) ) )

' Save a backup as XML
cURL = ConvertToURL( cBackupFolder + "\" + cDocumentTitle + ".xml" )
oTextDoc.storeToUrl( cURL, Array() )
End Sub


' Create and return a new com.sun.star.beans.PropertyValue.
'
Function MakePropertyValue( Optional cName As String, Optional uValue ) As com.sun.star.beans.PropertyValue
Dim oPropertyValue As New com.sun.star.beans.PropertyValue
If Not IsMissing( cName ) Then
oPropertyValue.Name = cName
EndIf
If Not IsMissing( uValue ) Then
oPropertyValue.Value = uValue
EndIf
MakePropertyValue() = oPropertyValue
End Function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장된 모습입니다



2008년 8월 6일 수요일

오픈 오피스 - 문서에 암호 설정하기

문서에 암호 설정하기

아무나 함부로 열어보면 안되는 문서라면 암호설정을 해두는것은 필수입니다.
보안은 100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

①  [파일]→[저장]메뉴를 선택한후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암호를 사용하여 저장' 항목에 체크합니다.



②  [암호 입력]대화상자가 나오면 암호를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③  그럼 암호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봅시다.
    [파일]→[열기]를 선택하고 저장해둔 문서를 열어보면 암호 입력 대화상자가 뜨게 됩니다.
    설정해둔 암호를 제대로 입력해야만 문서가 열립니다.
    (암호를 분실하면 문서를 열 방법은 없습니다. 복구 프로그램이 있지만, 쉐어웨어고 썩 좋지도 않습니다.) 



NOTE : 암호를 사용하여 저장하기 전에 사본을 만들어 두는것도 좋은 꼼수겠죠?
           정말 보안이 필요한 문서라면 권장할만한 방법은 아닙니다.



더이상 암호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암호를 해제하는 방법도 알아봅시다.

①  암호가 설정된 문서를 불러옵니다.

②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메뉴를 선택한후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암호를 사용하여 저장' 항목의 체크를 해제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③  저장된 문서를 불러오면 암호 입력 대화상자가 더이상 나오지 않는걸 알수있습니다.

NOTE : 암호해제 부분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심코 열어놓은 보안문서를 다른이가 위 방법을 사용하면 암호가 해제되어 버릴수 있습니다.
           해제할때도 암호를 한번 더 확인하는 절차가 추가되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