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Writ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rit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10월 22일 수요일

오픈 오피스 - 서식 추가와 관리


※ 서식 파일 저장하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서식으로 지정하고 싶은 문서를 열고 [파일]→[서식 문서]→[저장]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적당한 영역을 고르고 서식의 이름을 입력한후 확인을 선택합니다.


저장된 서식파일로 새문서 만들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파일]→[새로 만들기]→[서식 파일과 문서]를 선택합니다.


2. '스타일과 문서 - 서식 파일' 대화상자가 나오면 저장해둔 서식파일의 위치로 이동합니다.
    [열기]를 선택하거나 더블클릭하면 새 문서가 만들어집니다.

기본 서식 파일 변경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파일]→[서식 문서]→[관리]를 선택합니다.
   설정하려는 서식 파일을 찾아갑니다.


2. 서식 파일을 선택한후 [명령] 버튼을 클릭하거나 마우스 우클릭 하면 목록이 나옵니다.
   '기본 서식 파일로 설정'을 선택합니다. [닫기]를 누르고 새 문서를 만들면 레이아웃이 달라져 있습니다.

3. 오픈 오피스 기본값으로 돌아가려면 '기본 서식 파일 원래대로'를 선택하면 됩니다.

(오픈 오피스 커뮤니티에 올라왔던 질문/답 내용을 참고하여 구성해봤습니다.거의 똑같을라나?..)


2008년 8월 6일 수요일

오픈 오피스 - 문서에 암호 설정하기

문서에 암호 설정하기

아무나 함부로 열어보면 안되는 문서라면 암호설정을 해두는것은 필수입니다.
보안은 100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

①  [파일]→[저장]메뉴를 선택한후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암호를 사용하여 저장' 항목에 체크합니다.



②  [암호 입력]대화상자가 나오면 암호를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③  그럼 암호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봅시다.
    [파일]→[열기]를 선택하고 저장해둔 문서를 열어보면 암호 입력 대화상자가 뜨게 됩니다.
    설정해둔 암호를 제대로 입력해야만 문서가 열립니다.
    (암호를 분실하면 문서를 열 방법은 없습니다. 복구 프로그램이 있지만, 쉐어웨어고 썩 좋지도 않습니다.) 



NOTE : 암호를 사용하여 저장하기 전에 사본을 만들어 두는것도 좋은 꼼수겠죠?
           정말 보안이 필요한 문서라면 권장할만한 방법은 아닙니다.



더이상 암호를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암호를 해제하는 방법도 알아봅시다.

①  암호가 설정된 문서를 불러옵니다.

②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메뉴를 선택한후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암호를 사용하여 저장' 항목의 체크를 해제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③  저장된 문서를 불러오면 암호 입력 대화상자가 더이상 나오지 않는걸 알수있습니다.

NOTE : 암호해제 부분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심코 열어놓은 보안문서를 다른이가 위 방법을 사용하면 암호가 해제되어 버릴수 있습니다.
           해제할때도 암호를 한번 더 확인하는 절차가 추가되야 하지 않을까요?

2008년 8월 5일 화요일

오픈 오피스 - 단의 너비와 간격 설정하기

①  [서식]→[단]메뉴를 선택하거나
     [삽입]→[프레임]메뉴의 [단] 항목을 선택
     혹은 [서식]→[페이지]메뉴의 [단] 항목을 선택해도 됩니다.


②  [단] 대화상자에서 직접 입력하거나 5가지 유형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예제에서는 2줄을 선택했습니다.)


③  각단을 다른 너비로 구성할 경우 자동 너비 체크를 해제하고 너비와 간격을 직접 입력합니다.


④   각 단의 너비와 간격에 따라 문서의 모습이 다양하게 바뀝니다.
 


NOTE :
구분선 항목
            줄 - 구분선의 두께
            높이 - 열 영역에 맞춰 구분선의 길이가 정해집니다.
                     기본값인 100%는 전체열과 같은 길이입니다.
            위치 - 높이값이 100%미만일 경우에만 활성화됩니다. 
                     구분선을 정렬하는 기능입니다.

NOTE : 아쉽게도 오픈 오피스엔 평행다단이나 배분다단 같은 기능이 아직 없습니다.

2008년 7월 24일 목요일

오픈 오피스 - 문서에 포함된 그림 저장하기

오픈 오피스는 문서에서 그림 파일만 따로 저장해주는 기능이 아직 없습니다.
이 기능에 대하여 개선 요구가 있으니 곧 지원해주리라 믿습니다만..
아쉬운대로 꽁수를 이용하여 문서에 포함된 그림 파일을 추출하여 저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문서의 확장자를 .odt → .zip 으로 바꾼후 압축 해제하는 방법

①  확장자를 .zip 으로 변경합니다.

NOTE : .doc 파일을 .odt로 바꾸고 다시 .zip 으로 바꿔도 됩니다.

②  .zip 파일을 압축 해제 합니다.

③  압축 해제한 폴더의 pictures 폴더로 찾아가면 그림 파일이 있습니다.



html로 저장하는 방법

①  [파일]→[다른 이름으로 저장...] 메뉴를 선택합니다.
      파일 형식중 html을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②  경고창이 뜨지만, 무시하고 를 선택합니다.

③  html파일을 저장해둔 폴더로 찾아가면 그림 파일이 있습니다.


NOTE :
두가지 방법 모두 편법이기 때문에 그림 파일을 문서에 삽입된 순서대로
            정렬하지는 못합니다. 이름도 임의로 부여받습니다.
            정렬 방법을 날짜순으로 맞추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것 같습니다. :)

오픈 오피스 - 그림 삽입하기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그림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픈 오피스에서 그림 삽입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그림을 문서에 포함하는 방법과 파일 위치를 연결하여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 그림을 링크하여 삽입하는 방법

①  [삽입]→[그림] 메뉴의 [파일로부터...]를 선택합니다.
     [그림 삽입] 대화상자 아래쪽의 [링크]를 체크해줍니다.
     [미리보기]는 말 그대로 대화상자에서 미리 볼수있는 기능입니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체크하시면 됩니다.
     (링크에 체크하면 문서에 그림 파일을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②  원하는 그림을 선택하고 [열기]를 누릅니다.
     커서가 위치했던 부분에 그림이 삽입됩니다.

③  이렇게 삽입된 그림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그림]을 선택한후 나오는 대화상자에서 [그림]탭으로 이동합니다.
     [그림]탭의 [연결]항목에 그림 파일의 경로가 나와있습니다.
   이 경로만 바꿔주면 쉽게 그림 파일을 교체할수 있습니다.


④  [편집]→[링크] 메뉴를 선택합니다.
     [연결 편집] 대화상자에서 교체할 그림파일을 고른 후 [수정]을 선택하면 그림을 교체할 수 있습니다.

NOTE : [연결 편집] 대화상자에서 [연결 중지]를 선택하면 그림이 문서에 포함됩니다.



※ 그림을 문서에 포함시키는 방법

①  링크하여 삽입하는 방법의 ①과 동일하나 [링크]에 체크하지 않습니다.

②  다른 방법으로 [도구]→[갤러리]메뉴를 선택한후 원하는 그림을 골라 편집창에 드래그 합니다.



NOTE : 아직 오픈 오피스는 문서에 포함된 그림을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비슷하게나마 추출하는 방법이 있긴 합니다.)
            다른 사용자에게 보낼 문서가 아니라면 가급적 사용자의 PC에서 링크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2008년 7월 22일 화요일

오픈 오피스 - 읽기 전용으로 불러오기

문서를 편집할 목적이 아니라 단지 보기 위해 불러왔다가 자신도 모르게 실수로 수정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럴때는 문서를 불러올때 읽기 전용으로 불러오면 중요한 문서라도 안심하고 볼수있습니다.

[파일] → [열기] 메뉴를 선택하거나 도구 모음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열기] 대화상자에서 불러올 파일을 선택하고 [읽기 전용]에 체크한 후 [열기]를 클릭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③ 제목 표시줄을 보면 파일명 옆에 [읽기 전용]이라고 표시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NOTE : 읽기 전용으로 불러와도 도구 모음의 편집 ()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마우스 우클릭 메뉴의 편집을 선택하면 편집 화면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NOTE : 불러올 파일의 속성이 읽기 전용일 경우 체크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런 파일을 편집 할 경우 복사본을 이용해 편집하도록 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복사본 편집